반응형
며칠 전 신문 기사에서, 우리나라가 UN회원국 중에서 유일하게 미수교국으로 남아있는 시리아와 수교하기로 합의했다는 반가운 뉴스가 있었습니다. 작년 2024년에는 카리브해의 진주라고 불리는 쿠바와 수교를 맺은 후, 올해 1월에 드디어 쿠바의 수도 아바나에 대한민국 대사관이 공식 개관했습니다. 물론, 쿠바와 정식 수교를 맺기 전에도 많은 한국관광객들이 여행을 다녀왔고 문화교류도 꾸준히 있어 왔습니다. 짧은 일정이든 긴 일정이든간에 다른 나라를 방문하려면 그 나라에 대한 대략적인 기본 정보는 알고 가는 게 기본 예의라는 생각이 들어 저에게는 아직 미지의 나라인 쿠바에 대해 먼저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쿠바의 기본 정보
- 공식 명칭: 쿠바 공화국 (República de Cuba)
- 수도: 아바나 (Havana)
- 면적: 약 109,884㎢
- 인구: 약 1,100만 명 (2023년 기준)
- 언어: 스페인어
- 화폐: 쿠바 페소 (CUP)만 사용합니다 --- 외국인이 사용하는 쿠바 변환 페소(CUC)는 현재 사용하지 않습니다.
- 정부 형태: 공산주의 단일당 국가 (사회주의 국가)
지리적 위치
- 쿠바는 카리브해에 있는 최대 섬이자, 멕시코 만과 플로리다 해협 사이에 위치한 전략적인 장소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아바나는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며, 쿠바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입니다.
역사
- 스페인 식민지: 쿠바는 1492년에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에 의해 발견되었고, 이후 약 400년 동안 스페인의 식민지였습니다.
- 독립 전쟁: 19세기 말, 쿠바는 독립을 위한 여러 전쟁을 벌였으며, 1898년 미국과 스페인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미국의 보호 아래 독립을 선언합니다.
- 1959년 사회주의 혁명: 가장 중요한 역사적 사건 중 하나는 1959년에 일어난 쿠바 혁명입니다. 피델 카스트로와 체 게바라가 이끄는 혁명군이 친미정권이었 바티스타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사회주의 국가를 수립하게 됩니다. 이 혁명은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고, 북한과 수교하면서 미국과의 관계를 악화시켰고 우리나라와도 교류가 단절됩니다.
경제
- 쿠바의 경제는 농업, 관광업, 의약 산업, 그리고 건강 관리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 당근, 설탕, 담배 등의 농산물이 주요 수출품입니다.
- 의료 서비스와 생명 과학 연구는 쿠바의 중요한 자산으로, 의료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경제 제재와 중앙 계획 경제로 인해 경제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문화
- 쿠바는 풍부한 문화 유산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음악과 춤으로 유명하며, 살사, 룸바, 차차차 등은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쿠바의 미술, 문학, 영화 등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구스타보 알바레스나 레오폴도 마르티네즈와 같은 작가들이 그 예입니다.
관광
- 쿠바는 매년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인기 여행지입니다. 아름다운 해변, 고풍스러운 도시 아바나와 구시가지, 고유한 문화 유산 등을 즐길 수 있습니다. 특히 아바나의 구시가지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클래식한 자동차와 함께 독특한 분위기를 자랑합니다.
- 소설가 헤밍웨이와 아르헨티나 출신이지만 쿠바의 혁명가인 체게바라의 흔적을 찾아오는 관광객들이 많아 쿠바의 경제에 적지않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국제 관계
- 쿠바는 미국과의 관계에서 많은 역사적 갈등을 겪었습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 제재는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2014년에는 오바마 행정부 하에서 쿠바와 미국 간의 관계가 일부 회복되었고, 양국은 일시적인 외교 관계 정상화를 이뤘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쿠바와의 관계는 다시 안개속으로 변했습니다.
- 쿠바는 피델 카스트로 혁명 때부터 북한과 형제 관계를 유지했으며, 냉전 당시 미국과의 대립이 심화되었습니다. 현재는 중국과 러시아 등과도 협력하고 있습니다.
사회와 사람들
- 쿠바는 무상 교육과 무상 의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나라로, 국민들의 교육 수준과 건강 관리에서 좋은 성과를 보여줍니다.
- 쿠바 사람들은 자유로운 정신과 음악, 춤, 예술을 중요시하는 문화를 갖고 있습니다.
결론
쿠바는 미국의 對경제 봉쇄로 심각한 전력난과 열악한 경제 상황때문에 최근 2-3년 사이 인구의 4-5%가 해외로 이주할 정도로 국민들이 여전히 고난의 기간을 견디고 있지만, 반면에 활력이 넘치는 라틴 음악과 살사댄스는 쿠바인들의 자부심의 상징이며 이러한 어려운 경제상황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는 수단일 것 같습니다.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나라로, 사회주의 경제와 강력한 중앙집권적 정치 체제 속에서 독자적인 길을 걸어왔습니다. 미국과의 관계에서 큰 변화를 겪었고, 현재는 국제 사회와의 관계에서 변화의 물결을 타고 있습니다. 천혜의 자원과 문화자원을 보유한 쿠바상상여행은 다음 편에 계속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