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변해가는 라이프스타일과 불안한 경제가 믹스돼서 생겨나는 신조어, 직장이 없는데도 취업이나 진학할 생각을 하지 않으면서 직업트레이닝도 받지 않는 젊은 층을 일컫는 니트족보다는 살짝 상위 개념인 캥거루족, 프리터족, 프리커족 등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그들의 부모님 입장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오늘은 캥거루족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의 입장과 부모님의 입장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캥거루족의 뜻과 유래
"캥거루족"이라는 용어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사는 성인 자녀를 가리키는 한국의 사회적 표현입니다. 이 용어는 캥거루가 새끼를 pouch(주머니) 안에 넣고 보호하는 모습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캥거루는 자식을 독립시키지 않고, 계속 보호하며 품고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성인이 된 자녀가 경제적인 이유나 다른 이유로 부모의 집에 계속 거주하는 경우를 비유한 표현입니다.
캥거루족의 사회적 배경
이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배경에는 몇 가지 사회적 변화가 있습니다. 1990년대 후반 유럽에서부터 시작해서 일본을 거친 후 2000년대 초반부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의 한국 사회는 경제적 불황과 주택 문제, 취업난 등이 겹치면서 많은 성인 자녀들이 경제적 이유로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와 함께 사는 현상이 증가했습니다. 즉, 급격히 상승한 집값과 전세, 월세 등의 부담으로 인해 많은 젊은이들이 경제적 자립을 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고 또한 청년 실업률의 증가와 비정규직 일자리의 확대 등은 젊은 층이 독립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쌓는데 방해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성인 자녀들이 부모와 함께 사는 현상이 자연스럽게 늘어났고, 이 모습을 캥거루처럼 부모가 자식을 계속 품고 있다는 비유로 "캥거루족"이라는 용어가 생겼습니다.
캥거루족의 입장
- 경제적 부담
캥거루족이 되기를 선택한 많은 성인 자녀들은 경제적인 부담으로 독립을 하고 싶어도 독립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대도시에서 집값 상승, 취업 경쟁 심화, 비정규직 증가 등으로 인해 독립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높은 전세나 월세, 집을 구할 수 있는 금액이 부족한 상황에서 부모와 함께 사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경제적으로 유리하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 정서적 안정
부모와 함께 살면서 얻는 정서적 지원도 중요한 이유입니다. 부모와의 관계가 원만한 경우, 자녀는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며 부모의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사회적 스트레스나 직장 내 어려움 등을 부모와 나누면서 정서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어서 둥지를 떠나는 걸 원하지 않습니다. - 사회적 시선
일부 캥거루족들은 사회적 시선에 대한 부담을 느끼기도 합니다. "어른이 되면 독립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과 맞지 않는 점에서 자신을 부끄럽게 여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인 이유로 독립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외부의 압박감을 느끼면서도 스스로 자신의 선택을 정당화하는 젊은이들도 있을 것입니다.
부모의 입장
- 경제적 부담 완화
부모는 자녀가 집을 떠나 독립하는 것보다는 함께 살아가는 것이 경제적으로 더 편안할 수 있습니다. 자녀가 경제적 자립을 할 수 없거나, 자녀의 취업이 안정되지 않은 경우, 부모는 자녀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하게 되는데, 자녀와 함께 살면서 그들의 생활비나 주거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정서적 결속
부모 입장에서도 자녀와 함께 사는 것이 정서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습니다. 부모는 자녀의 성장과 변화를 직접적으로 보며, 자녀가 직면한 문제를 더 가까이에서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런 관계는 부모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부담과 스트레스
반면, 부모는 자녀가 독립하지 않고 계속 집에 있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녀가 계속 부모의 집에 살면서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않는다면, 부모는 자녀의 미래에 대한 걱정을 하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가 성인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독립하지 않는다면 부모는 '자녀가 자립하지 못한 것'에 대해 걱정하거나 불만을 느낄 수 있습니다. 부모의 마음도 복잡할 수 있습니다.
결론
캥거루족 현상은 경제적, 사회적 이유와 개인의 심리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결과입니다. 자녀는 경제적인 독립과 개인적인 문제로 인해 부모와 함께 살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부모는 자녀와 함께 사는 것에 대해 긍정적일 수도 있지만, 독립을 원하는 마음과 함께 걱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각 가정의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무조건 내가 옳고 너가 틀리다는 흑백논리보다는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관계가 형성되어야 하며, 아울러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 경제적 변화가 이뤄질 때 이런 용어들은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