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이들은 오늘 어떤 방식으로 '표현'했을까요?
조용하지만 분명한 목소리를 담고 있는 시장놀이 속 순간들을 공유합니다.
🌟 시장놀이를 통한 언어 및 의사소통 행동 관찰기록 🌟
"아이들의 말 없는 이야기, 시장놀이 안에 숨어있다"
관찰 일시: 2025.04.22
활동명: 시장놀이
준비물: 연필, 공책, 과자 등 실제 물품, 가격표, 100원/500원 동전
대상 : A, B (총 2명) - 초1, 초2
🔍 활동 목적
- 시장놀이를 통해 언어 표현 유도
- 간단한 수 개념 인식 및 의사소통 기능 향상
- 사회적 규칙(돈 주고 물건 받기) 경험
📝 관찰 내용 요약
- 활동 전, 100원 동전을 보여주며 “이게 얼마일까?”라고 질문했으나
두 아이 모두 “백만 원”이라고 대답함
→ 숫자 반복은 가능하나 개념적 이해 부족이 관찰됨 - “백 원”이라는 표현을 여러 번 연습 후 놀이 시작.
하지만 동전 세기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음 - “무엇이 필요하니?”라는 질문에
A: “연필”, B: “붓” 등으로 소리를 작게 내며 대답
→ 자발적 표현은 가능하나, 단어 수준에 머무름
→ “연필이 필요해요?”라고 물으면 그대로 따라 말함 (반향어) - 연필 가격을 가리키며 “얼마예요?”라고 물었을 때
“백만 원”이라고 대답하거나 머뭇거림
→ 상황 맥락 이해 부족, 사회적 의사소통 미성숙 - 그러나 원하는 상품은 정확히 고르고 가져가는 행동은 명확히 보임
→ 욕구 인식 및 시각적 정보 해석 능력은 비교적 양호
🧠 주목할 점: 독특한 행동 패턴
- A, B 모두 공통적으로
자신이 가진 돈에 맞춰 가격표를 바꿈- 예: 공책이 300원인데 500원짜리 동전만 있자 가격표를 500원으로 바꾸고 구매
- 혹은 200원이 적힌 가격표를 100원으로 바꾸고 100원 지불
🟡 이 행동은 단순한 장난이 아닌,
자신이 가진 정보(동전)에 맞춰 상황을 재구성하려는 인지적 반응으로 볼 수 있음
→ 자폐 스펙트럼 아동에게서 자주 관찰되는 자기중심적 사고, 규칙 유연성 부족과 연관
🌱 종합 분석 및 해석
발달 영역 관찰된 행동 해석 및 특성
언어 표현 | 단어 단위 응답, 반향어 사용 | 자발적 문장 생성 어려움, 즉각적 반향어 우세 |
수 개념 | "백만 원" 반복, 동전 개수에 관심 없음 | 수량과 숫자의 대응 개념 미흡 |
사회적 규칙 | 가격표 자의 변경, 규칙보다 욕구 우선 | 규칙보다 결과(획득)에 집중, 자기중심적 상황 해석 |
의사소통 | 질문 무응답 또는 반복 | 맥락적 언어 사용 어려움, 상황 이해 부족 |
💡 교사 반응 및 지원 전략
- 숫자 개념 대신 색깔, 크기 등 구체적 비교 활동부터 도입
- “가격은 바꾸지 않아요”와 같은 시각 규칙 카드 활용
- PECS 카드나 그림 선택지 활용해 문장 틀 학습
- 반복 질문 대신, 행동 모델링(보여주기)로 학습 유도
- 역할 바꾸기 활동으로 사회적 시선과 규칙 인식 확장 시도
❤️ 교사 소감
이번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보여준 반향어 사용, 숫자 개념의 혼동,
그리고 자기중심적인 문제 해결 방식은 모두 그들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언어는 많이 없지만, 분명한 ‘표현’이 있었고
규칙은 몰랐지만, 자기 나름의 ‘논리’는 분명했습니다.
조금 돌아가도 괜찮습니다.
시작은 다 다르니까요.
아이들마다의 속도를 인정하며,
천천히 의미 있는 소통과 사고의 연결을 함께 걸어가고 싶습니다.
반응형